ABOUT ME

도로 및 공항기술사 정보 공유 도로 정책과 투자의 연관성

Today
Yesterday
Total
  • 13. 도로 소음 저감 방안
    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3. 16. 17:14

    출제회차

    단답형 79, 102

     - 저소음 포장, 소음저감포장공법

    서술형 105

     - 도로에서 자동차 주행소음의 발생원인 및 소음저감포장 처리방안으로 아스팔트포장과 콘크리트포장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개요

    1. 최근 도로 소음 피해 관심이 커지면서 교통소음 저감 대책 수립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2. 국내는 현재까지 소음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며 소음 저감 대책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적용이 요구된다.

    3. 본문에서는 소음 영향인자, 발생 메커니즘, 노면과 소음과의 관계, 소음 저감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도로의 교통소음

    1. 교통 소음 영향인자

     1) 교통량, 주행 속도

     2) 포장 종류, 지형 특성

     3) 차량 구성 비율, 차로수

    2. 발생 메커니즘

      ① 타이어와 노면사이 공기 압축, 팽창으로 발생

     2) 타이어 가진음

      ① 타이어 트레이드 측벽 진동 발생음

     3) 기타:

      ① 마찰음, 교량 소음, 충격음

    3. 노면과 소음과의 관계

     1) 다공질

      ① 공극이 에어펌핑음 흡수

     2) 노면 요철

      ① 타이어 가진음, 에어 펌핑음 저감

      ② 입도가 작을수록 소음저감 효가 향상

     3) 노면 경도 : 콘크리트 아스팔트

     

    도로 소음 저감방안 _ 우회, 저소음, 표면처리, 강교, 신축이음

    1. 노선 선정 시 정온시설 및 마을 우회노선 선정

     1) 지역주민 법적 허용 기준 불인정

     2) 방음시설은 최후수단

    2. 아스팔트 포장 저소음포장 적용

     1) 개립도 골재 적용, 공극 16%

     2) 에어펌핑음 감소, 수막현상 저감, 마찰력 증가

    3. 콘크리트 포장 표면처리

     1) 횡방향 타이닝 배제. 적용시 간격 조정

     2) 종방향 타이닝, 그루빙 적용

     3) 소음저감효과 우수한 NGCS 확대 적용

    4. 강교 소음 저감방안

     1) 강교 공명현상 발생으로 소음 발생

     2) 강박스 내부 측면 제진 판넬 설치

    5. 저소음 신축이음

     1) 저소음 신측이음 적용, 굴절형 신축이음

     2) 교량 규모 고려 무조인트 일체식 교대, 연속교 적용

    6. 도시지역 도시계획도로는 방음벽 지양, 환경시설대 조성

     1) 수림대 조성 및 방음림 식재로 방음효과와 시각적 경관 연출

    7. 방음시설 설치

     1) 방음벽, 방음터널

     

    결론

    1. 가옥 소음 피해 시 이주보상 및 간접보상이 가능하도록 명확한 보상기준을 법제화 해야 한다.

     1) 현행 : 축사는 간접, 이주보상 가능

    2. 방음시설은 최후 수단으로 노선계획 시 정온시설과 이격하고 과속단속, 구간단속, 제한속도 하향 등 확실한 소음저감 방안을 적용해야 한다.

     1) 저소음 포장, 방음벽과 속도 규제를 복합 적용방안을 검토

    3. 지방지역 도로 방음시설 계획 시 교통량 감소 추세를 고려 토공 균형을 검토후 방음뚝, 방음 식재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

    4. 소음에 대한 집단소송이 빈발하므로 정부 차원에서 교통소음 대책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대처하여야 한다

    5. 도시지역은 방음터널과 지하화를 비교 검토하고 공사비가 증가하더라도 도로의 공간기능을 고려하여 지하화를 적용 하고 상부 활용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6. 저소음 포장의 장기 공용성 확보를 위해 고점도 바인더 적용하고 1등급 단입도 골재를 적용하여야 한다.

    7. 저소음 포장은 시간 경과에 따라 기능 저하가 현저하므로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1) 2회 살수 또는 진공 흡입 유지관리 필요

    8. 깎기부 방음벽 설치 위치 개선

     1) 당초 : 길어깨 접속 설치

     2) 개선 : 깎기부 상단 설치

     

    '도로및공항기술사 > 2.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도로의 경제성 분석 기법  (0) 2022.03.16
    14. 고성토구간 교량화 검토  (0) 2022.03.16
    12. 생태통로  (0) 2022.03.16
    11. 산지부도로 도로  (0) 2022.03.16
    10. 경관을 고려한 도로설계  (0) 2022.03.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