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1. 산지부도로 도로
    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3. 16. 16:55

    출제회차

    서술형76, 81, 82, 86, 92, 94, 105

     - 도로가 군부대, 국립공원, 산악지대 등을 통과하는 구간의 선형설계시 검토사항 및 세부설계시 고려사항    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민원발생시 대책에 관해서도 설명하시오.

     - 산악지역을 통과하는 구간의 도로건설시 노선선정에서 고려할 사항을 기술하시오. 

     - 산지부를 통과하는 도로의 재해대책 및 안전을 고려한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산악지형을 통과하는 구간의 노선선정시 연속터널이 불가피하게 설치될 경우 선형계획에서 고려 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개요

    1. 산지부 도로 설계시 환경 훼손 및 지형 변화 최소화가 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2. 산지부 도로는 교통 안전성, 경관 확보가 중요 하므로 선형의 조화, 환경친화적 도로 설계가 이루어 지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3. 본문에서는 산지부 도로 계획 시 문제점, 고려사항 기술한다.

     

    산지부 도로 계획 시 문제점 _ 대규모 비탈면 /

    1. 대규모 비탈면 발생으로 환경부 협의 곤란

     1) 선형 조합 시 필연적 대규모 절·성토 발생

     2) 환경부 깎기고 30m 이상 시 터널 계획 요구, 비탈면 규제

    2. 구조물 장대화 공사비 증가

     1) 고 규격 도로 준수 시 공사비 증가, 경제성 미달 다수

     2) 우회 노선 선정 시 노선 연장 증가, 우회거리 과다

    3. 테일러스, 산사태 위험지역 등 비탈면 활동지역 노선 통과

     1) 안정지역만으로 통과 불가

     2) 악천후, 집중호우 시 재해 가능성 내포

    4. 토공 이동로 확보 곤란

     1) 산지부 경사지형 : ·성토 증가

     2) 계곡부 통과 노선 토공 이동로 확보 어려움

    5. 생활 환경 피해 민원 발생

     1) 지역, 지맥, 수맥 단절, 기존 통행 단절

     2) 구조물 설치로 소음, 진동, 대기, 일조 피해

     

    산지부 도로 계획 시 고려사항

    1. 생태자연도 1등급, 국립공원 우회노선 선정

     1) 생태 보전이 중요

     2) 노선 우회 곤란 시, 터널, 분리선형 등 대책 수립

    2. 비탈면 발생 최소화가 되도록 터널 적용 확대

     1) 비탈면 높이 30m, 연장 200m 이상 터널 적용

    3. 대규모 편측 비탈면 발생 시 피암터널 적용

     1) 편측 50m 이상 비탈면 발생 : 낙석, 교통 안전 취약

     2) 교통안전, 유지관리 축면에서 피암터널이 유리

    4. 계곡부 통과 시 테일러스 및 토석류 피해 대책 반영

     1) 테일러스 : 링네트, 앵커, 그라우팅 공법

     2) 토석류 : 사방댐, 골막이 등 사방 시설

    5. 주변 식생과 조화 되는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

     1) 암 절개면 : 식생기반재 뿜어 붙이기

     2) 산성 암반 : 중성화 녹화 공법 적용

    6. 산지부 도로 배수구조물 단면 확대

     1) 산지부 유달시간 짧음, 여유있는 유역면적 선정

     2) 횡배수 시설 유송잡물 고려하고 토석류 방지시설 설치 검토

    7. 터널 입·출구부 교통안전성 증대

     1) 결빙, 조도순응, 직광 검토

     2) 결빙방지시설, 직광방지시설 설치, 조명시설 보강(LED)

     3) 태양광, 지열방식 융설시스템 적용

    8. 비상주차대, 긴급제동시설, 체인탈부착장 설치

     1) 산지부도로 선형조합 불리, 기하구조 불리

     2) 기상 상황 및 긴급상황 대비 시설 설치 검토

    9. 산지부 비탈면 맹암거형 배수시설 설치

     1) 집중호우, 해빙기 비탈면 유실, 붕괴 빈번

     2) 지하수, 지표수 신속 배출, 간극수압 감소

    10. 터널 갱구부 비탈면 자동 계측 시스템 도입 의무화

     1) 비탈면 이상 사전 인지, 교통안전성 강화

     2) 절토 사면(비탈면)음향센서, 광섬유 센서 등을 설치하여 위험징후를 자동 감지

    11. 산지부 도로 교량, 터널 공사기간 고려 토공운반 계획 수립

     1) 우회운반, 가설·관통 후 운반 비교 검토

     2) 지형상 공사중 가도 설치 어려움

     

    결론

    1. 4차로 이상의 산지부 도로 오르막차로는 교통 용량분석을 통해 단계건설을 원칙으로 적용해야 한단.

    2. 산지부 도로는 교통안전성과 경관성 확보 관점에서 선형과 주변 지형의 조화가 중요하므로 입체적 설계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3. 산지부 도로는 악천후 대비하여 밝기 휘도가 상향된 우천식 5종차선도색, 노면요철포장, 돌출형 차선도색, 길어깨 확폭 등을 검토후 적용하여야 한다.

    4. 산지부도로 설계 시 경제성 및 환경친화적 도로를 위하여 지형조건 별로 설계속도 차등적용 방안을 정립해야 한다.

    5. 산지부 통과노선은 배수시설 및 산지훼손 최소화를 위해 분리 선형을 적용해야 한다.

     1) 배수시설 및 산지 훼손 최소화, 토공 유동, 경제성, 경관 확보 관점에서 선형 분리 적용

    6. 산지부 도로 연속터널 계획시 적정 이격거리 확보

     1) 연속터널은 급격한 명암변화, 순응시간 필요 용량 및 안전 저하

     2) 최소 이격거리 확보(Vd : 100km/h 750m 이상 확보)

     

    '도로및공항기술사 > 2.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도로 소음 저감 방안  (0) 2022.03.16
    12. 생태통로  (0) 2022.03.16
    10. 경관을 고려한 도로설계  (0) 2022.03.16
    9. 환경을 고려한 도로 설계  (0) 2022.03.16
    8. 폐도 활용 방안  (0) 2022.03.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