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 경관을 고려한 도로설계
    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3. 16. 16:49

    출제회차

    서술형 84, 100

     - 도로 경관의 구성요소를 나열하고 세부 설계방안에 대해 기술. 도로의 경관설계 기법

     - 경관이 수려한 산악지 또는 도시부를 지나가는 노선계획이 필요할 경우 환경친화적인 도로설계기법을 선형계획 중심으로 기술하시오.

    단답형 83

    - 경관도로

     

    개요

    1. 경관 설계란 도로 요소(선형, 구조물)가 주변 자연과 조화되어 쾌적한 환경을 갖춘 도로 설계를 말한다.

    2. 도로 설계 시 통과지역 자연경관, 역사, 문화 등 경관의 가치가 반영되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 본문에서는 경관의 구성, 기본원칙, 경관 설계 시 고려사항, 유의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도로의 경관 설계 _ 경관의 구성 / 기본원칙 / 고려사항

    1. 경관의 구성

     1) 내부경관 정지 : 서있는 보행자, 운전자

                       연속 : 이동하는 보행자, 운전자

     2) 외부경관 정지 : 원거리 관망자, 지역주민

    2. 경관 설계 기본원칙 _대상지역 특성, 안전쾌적, 균형, 자연경관과 조화

     1) 대상지역 특성, 역사, 문화적 특징

     2) 도로 선형 지형과 조화, 안전성, 쾌적성 확보

     3) 전체적 균형 : 통일, 연속, 변화

     4) 자연경관과 조화 신경관 창출

    3. 경관 설계 고려사항 _ 노선, 선형, 교량, 터널

     1) 노선 계획

      ① 내외부 경관을 고려한 노선계획

      ② 전체적으로 연속성이 있는 경관을 조성

     2) 선형 계획

      ① 쾌적한 주행성을 확보하는 선형계

      ② 도로 특성에 따른 선형계획 : 산지, 수변, 해안, 역사·문화지역

      ③ 선형의 시각적 자연스러움이 확보되는 계획

     3) 교량 계획

      ① 자체 경관 및 주변 경관과 조화

      ② 주변 자연환경의 조망권 확보

     4) 터널 계획

      ① 운전자 심리적 부담 완화, 갱구 지형 변화 최소화

     

    경관 설계 시 유의사항 _생태통로, 터널 갱문, 개방형 방호울타리, 도시지역 환경시설대,분리선형

    1. 생태통로는 주변 경관과 조화 위해 아치형식 적용

     1) 하부 구조 단순 : 경관 저해

     2) 입체적 경관 창출

     3) 곡선 형태 구조 적용 : 자연 순응

    2. 환경 우수 지역 우회 노선 선정

     1) 생태자연도 1등급, 국립공원

     2) 원거리에서 경관 조망 되도록 구성

    3. 터널 갱문 콘크리트 노출 최소화

     1) 원지반 경사 고려 갱문 형식 선정, 환경친화적 도로설계

      ① 완만한 지형 : 원통 절개형

      ② 급경사 : 면벽형

     2) 경제성만 고려하여 터널 연장 축소 지양

     3) 통과 지역의 특징을 형상화한 갱문 적용

      ① 광폭 갱문 : 지역특성, 역사, 전통 문화 형상화

    4. 수변, 해안, 개활지 등 개방형 방호울타리

     1) 경관과 안전성 동시에 만족하는 형식 적용

    5. 도시지역 도시계획도로는 방음벽 지양, 환경시설대 조성

     1) 수림대 조성 및 방음림 식재로 방음효과와 시각적 경관 연출

    6. 산지부 노선은 녹지를 고려하여 분리선형 적용

     1) 산지부 비분리 시 지형 훼손 과다

     2) 분리선형 적용으로 지형 변화 최소화

     

    결론 _ 정량적 평가척도 개발/ 경관 체크리스트 수행 / 경관 우선 관점 심의 진행 / 입체설계기법 도입

    1. 경관설계는 설계자와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가치 창출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량적 평가척도 개발 및 지표화가 필요하다.

    2. 토목 설계자의 경관 설계 이해 부족 및 교통안전성에 치우친 설계 수행 후 경관심의 시행으로 설계 변경 사례 다수 발생, 설계 진행 단계에 맞는 경관 체크리스트 수행 의무화 도입.

    3. 경관 심의는 건축, 조경, 환경, 디자인 등의 분야 위원으로 구성되어 경관 우선 관점 심의 진행

     1) 현행 : 재심의, 구조물 형식 변경 등 공기 지연 설계 다수

     2) 개선 : 경관 심의 시 도로 기술자 참여

    4. 도로의 경관 설계는 2차원 설계에 한계가 있으므로 3D 입체설계기법을 도입하고 대가기준을 재정립 해야 한다.

    '도로및공항기술사 > 2.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생태통로  (0) 2022.03.16
    11. 산지부도로 도로  (0) 2022.03.16
    9. 환경을 고려한 도로 설계  (0) 2022.03.16
    8. 폐도 활용 방안  (0) 2022.03.16
    7. 2+1차로 도로  (0) 2022.03.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