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2+1차로 도로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3. 16. 16:10
출제회차
서술형 103
- 2+1차로의 개념과 설계시 고려사항
개요
1. 2+1차로 도로란 양방향 3차로 도로로써 중앙차로를 양방향 추월차로로 교대로 제공하는 연속적 3차로 도로를 말한다.
2. 2+1차로 도로는 2차로 교통 용량을 초과하고, 4차로 용량에 미달하는 구간에 적합한 도로이다.
3. 본문에서는 2+1차로 도로 구성, 계획 기준, 고려사항, 유의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2+1차로 도로
1. 2+1차로 도로 구성
1) 전이구간 : 분류부, 합류부 전이구간
2) 추월차로 : 양방향 교대
개념도 2. 계획기준
1) 교통조건
① 목표연도 : 20년, LOS D
② AADT : 7,300~17,000대/일
2) 도로조건
① 구조 : 양방향 교대 연속추월차로 제공, 연속적 3차로 횡단구성
② 설계속도 : 도로 구분 및 지형에 따라 적용
3) 합류부 전이구간
① 설계속도에 따라 240~320m
4) 분류부 전이구간
① 설계속도에 따라 80~110m
5) 추월차로 구간 길이
① 800~1,500m, 최대 2,000m
3. 계획 시 고려사항
1) 이용자 편의 및 안정
2) 인지성, 이해, 통행
3) 기존 2차로 확장, 4차로 전제 단계건설
4) 도로의 연속성, 안전조치
5) 평면교차로 수를 최소화 → 연속성 유지
6) 도로 교통안전시설은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
설계 시 유의사항 – 운영속도 / 마을학교 / 구조물 / 시인성
1. 운영속도(V85) 적용 합류부 전이구간 정지시거 및 길이 산정
1) 추월 시 설계속도 이상 주행
2) 합류부 정지시거 및 길이 증대 필요
2. 마을, 학교 통과지역은 2차로 운영
1) 마을 통과 구간 접속도로 많음
2) 고속주행, 시거분산 → 안전성 저하
3. 구조물구간 이격거리 및 접속설치 길이 기준
1) 현행 : 차로수 기준만 있음
2) 전이구간, 이격거리 기준 제시 필요
4. 시인성 증대 시선유도시설 설치
1) 전이구간 : 사전 정보 제공 필요
2) 추월차로 : 시종점 인지용 시선 유도 시설 필요
결론
1. 2+1차로 모니터링 후 적용 효과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설계기준 개정·보완이 필요하다.
2. 회전교차로와 같이 2+1차로 통행 방법과 효과를 적극 홍보하여 도입 목적을 달성하여야 한다.
3. 전이구간 교통안전성 증대를 위해 중앙분리대 형식 선정, 전이구간 정지시거, 접속설치율, 구조물 이격거리 기준 개정이 필요하다.
1) 중앙분리대 형식 및 방호성능 기능을 설정
4. 2+1차로 도로의 곡선구간의 편경사 설치 방안, 완화곡선 설치, 편경사 변화구간 등 상세 설계기준 정립 필요
5. 국도·국지도 5차년 계획에 2+1차로 도로를 추가하여 최적의 국도·국지도 계획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한다.
1) 2+1차로 도로 신설 또는 확장, 4차로 전제 2+1차로 도로
2) 시설개량, 확장, 신설 등과 동시 고려
6. 4차로 이상으로 규정된 자동차 전용도로 기준을 개정하여 2+1차로 도로를 적극 적용하여야 한다.
1) 지방지역 4차로 경제성 미달 다수
2) 경제성 확보, 교통편의 제공, 조속한 사업추진 위해 적극 적용
7. 타당성 조사 시 경제성 뿐만아니라 AHP의 비중을 높여 2차로 도로를 2+1차로 도로로 개선해야 한다.
8. 지방지역 정지시거, 앞지르기 시거 미확보 구간이 많고, 2차로 용량에 도달한 구간은 시거개선 → 양보차로 → 앞지르 기차로 → 2+1차로 → 4차로 확장 순으로 단계건설 방안을 도입하여 도로 투자 효율성을 제고 하여야 한다.
'도로및공항기술사 > 2.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환경을 고려한 도로 설계 (0) 2022.03.16 8. 폐도 활용 방안 (0) 2022.03.16 6. 가변차로 (0) 2022.02.16 5. 최적노선 선정 (0) 2022.02.16 4. 접근관리 (0)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