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6. 가변차로
    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2. 16. 21:51

    개요

    1. 가변차로란 특정시간대에 방향별 교통량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구간에 주방향 교통류가 통행하도록 확보하는 차로이다.

    2. 가변차로는 교통 용량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교통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하므로 적용 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

     

    가변차로

    1. 설치효과

     1) 첨두시간 용량 증대, 속도 증가

     2) 지정체 감소 : 에너지 절감, 편익 증대(시간, 환경)

     3) 단구간 혼잡구간 적용 효과 높음

    2. 설치기준 _ 교통량 / 차로수 / / 유출부

     1) 첨두시 양방향 교통량 : 3:2

     2) 차로수 : 양방향 5차로 이상도로

     3) 차로: 일정

     4) 유출부 : 교통처리 능력 충족

     

    결론

    1. 고속국도 길어깨 가변차로(LCS차로)적용 시 가변차로 제한속도 차등 적용 방안 도입 필요.

     1) 길어깨 가변차로 : 측방 여유 부족, 편경사 상의, 수막현상, 정지시거 부족

    2. 가변차로 적용 시 본선 포장과 색상 분리 적용

     1) 운전자 혼선 방지

    3. 도심지 간선도로 평면교차로는 회전교통량에 의한 교통혼잡 영향이 크므로 시간대별 좌회전 가변차로 적용방안 도입.

     1) 좌회전 대기차로 부족 직진교통 방해, 용량저하

    4. 대도시 BTX, 가변식 중앙분리대 적용 확대

     1) 대도시 역류형 버스정용차로 적용

     

    '도로및공항기술사 > 2.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폐도 활용 방안  (0) 2022.03.16
    7. 2+1차로 도로  (0) 2022.03.16
    5. 최적노선 선정  (0) 2022.02.16
    4. 접근관리  (0) 2022.02.16
    3. 도로의 공간기능  (0) 2022.02.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