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1.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도로설계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도로및공항기술사/2.계획 2022. 3. 16. 19:36

    출제회차

    서술형 83, 105

     -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도로설계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고령화시대를 대비하여 고령자의 도로 이용 편의 및 안전을 위하여 현 설계기준 개선이 필요하다.

    2. 도로 계획·설계 시 고령자의 안전한 이동권이 보장되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3. 본문에서는 고령자 특징, 고령화 대비 도로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고령자의 특징 _ 신체/인지

    1. 신체 능력 저하_ 운동근력/시각/청각

     1) 운동능력 및 근력저하

     2) 시각적 측면 저하

      ① 시력, 시야 암순응, 명순응 저하 표지판 인지 가능 거리

     3) 청각 저하

    2. 인지 능력 저하

     1) 인지반응시간 증가

     2) 주의력, 기억력 감퇴

     3) 공간지각능력 저하

     

    고령화 대비 도로설계 시 고려사항

    1. 고령운전자_ 기하구조/시인성증대/안내표지판/컬러레인

     1) 기하구조 적정값 이상 적용

      ① 평면곡선반경 급변은 지양

      ② 입체교차로 유출부 기하구조 적정값 이상 적용

     2) 시력저하 고려 시인성 증대된 교통안전시설 설치

      ① 25 차선도색, LED 안개등

      ② 시선유도시설 : 휘도, 크기 상향 시선유도시설

      ③ 조명식 발광형 표지판 적용, 교통표지판 규격 확대, 갱구부 면조명

     3) 인지·반응능력고려 안내표지판 설치

      ① 안내지명 방향 6개 이하, 글자 크기 확대

      ② 가로수, 공작물에 의한 시인 장애물 제거, 발광형 표지판 적용

     4) 인지·판단능력고려 color lane 적용

      ① 교차로 전방 사전 분기 정보 제공

      ② 2차로 연결로 경우 방향별로 색 구분

     

    2. 고령보행자 _ 낙상사고 / 횡단시설 / 실버존 교통정온화

     1)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보도 포장

      ① 평탄성, 마찰력 증대

      ② 급경사 시 미끄럼 방지포장, 안전 손잡이

     2) 횡단시설

      ① 왕복 8차로 이상 : 중앙 보행섬 설치, B=2.0m

      ② 고원식 횡단보도, 무단횡단금지시설, 보도휀스

      ③ 보행쉼터, 바닥형 보행신호, 횡단보도 점등형 표지병

     3) 고령자 통행 많은 지역 실버죤, 교통정온화 적용

      ① 지그재그 도로, 교차로 및 차로 폭 좁힘

      ② 고원식 교차로, 포장 표면처리

      ③ 진입 억제시설, 과속방지턱, 일반통행

     

    3. 고령자를 위한 교차로 계획 _ 평면 / 입체

     1) 평면교차로 _ / 좌회전 / 분리형 좌회전 / 시거 / 모퉁이

      ① 교차각 : 직각에 가깝게 계획( 75° ~ 105°)

      ② 평면교차로 좌회전차로 접속부 차로폭 0.25m 확폭

      ③ 분리형 좌회전 차로 적용

      ④ 교차로 시거 : 전방 신호 사전 인지 반응시간 10초 적용

      ⑤ 도로 모퉁이는 확폭, 복합곡선(4R-R-4R) 적용

     2) 입체교차로 _ 안내표지 / 노즈부 발광형 / 가감속차로 길이 확대

      ① 유출부 안내표지 가독성, 이해성 등을 확보하도록 설치

      ② 노즈부 발광형 시선유도시설, 고어노즈 적용

      ③ 가감속차로 길이 최소 기준보다 길이 확대 적용

     

    결론

    1.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안전시설 효과를 검증하고 경제성에 의한 사업추진 무산 방지를 위해 예산부서와 정책적 합의를 도출하여야 한다.

    2. 교통약자를 위한 도로계획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상세 설계기준을 정립하고 표준화 해야 한다.

     1) 현행 :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안전, 편의시설 적용 매우 낮음

    3. 지방지역 도로의 교통약자 안전성 증진을 위하여 복지도로 관점에서 교통안전시설 설치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4. 중소도시, 지방지역 취락지 주변도로는 교통약자, 고령자의 안전 확보 측면에서 생활도로망 적극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5. 지역별, 도로유형별 교통약자 교통사고 유형 분석 및 DB구축하여 교통약자 안전을 위한 도로설계시 활용해야 한다.

    6. 교통약자가 많이 통행하는 보도평탄성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유지관리 지침을 정립하여야 한다.

    7. 교통약자가 많이 통행하는 횡단보도혼잡지체를 고려하여 녹색신호 시간을 산정하여야 한다.

     1) 보행속도 현행 0.8m/s 0.75m/s, 안전성 향상

    8. 터널 피낙연락갱 간격 기준을 교통약자의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산정하도록 기준을 개선하여야 한다.

     1) 현행 : 250M 일률적 적용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