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 완전도로 / Complete Streets카테고리 없음 2022. 3. 18. 17:22
개요
1. 완전도로란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운전자 등 모든 도로 이용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도로를 말한다.
2. 완전도로는 차량 위주의 불완전 도로를 모든 교통수단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다.
완전도로 _ 설계 방향과 기법 / 주용 상충지점 설계 방향
1. 설계 방향과 기법 _ 설계 방향 / 주요기법
1) 설계 방향
① 주요 상충 지점 개선 : 교차로, 진출입로, 횡단보도, 버스정류장
2) 주요기법
① 교통정온화
- 물리적 시설
① 지그재그도로, 도로 폭 및 교차로 폭 좁힘
② 고원식 교차로, 횡단보도, 포장면 표면처리
③ 과속방지시설, 진입 억제시설
- 규제에 의한 방법
① 30km/h 제한속도 지정(Zone 30)
② 보행자우선 도로 조성, transit mall
③ 일반통행, 진행방향 지정, 회전규제
④ 시간제 통행제한 (스쿨죤 통학시간)
⑤ 주차 금지, 주차 허가제
⑥ 일시 정지 규제
⑦ 버스정류장 보도폭 확보
⑧ 교차로식 차량 진출입로
2. 주요 상충지점 설계 방향
1) 진출입로 상충 완화 방안
① 교차로식 진출입로, 저속 진출입 유도, 과속방지 시설
② 일시정지 공간 확보, 진입방향 장애물 제거(시거 확보)
2) 자전거 이용자 안전 고려 교차로 계획
① 자전거 전용 신호, 녹색신호 잔여시간 표시등 설치
② 회전반경 축소, 상충 지역 도색, 교차로 시거 확보
3) 보행자, 자전거 안전을 고려한 횡단시설
① 고원식 교차로 및 횡단보도, 시거 확보
② 우회전 신호등 설치
결론
1. 사업대상 범위 및 도로의 기능을 고려하여 규제 및 시설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2. 교통정온화 보다 큰 개념인 완전도로 적용을 위한 설계기준 및 적용 절차 정립 필요
3.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의 상호 연계성 고려 도로 통합 개선 사업 추진
1) 현행 : 국토부, 행정안전부, 지자체 각각 별도 사업 진행
2) 교통정온화 기법 적용하여 도로 기능별 다양한 개선방법 제시
<그림 : 오레곤주 자전거 및 보행자 계획을 반영한 도로 설계의 예>이미지출처 : Oregon Bicycle and Pedestrian Design Guide』, Oreg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